본문 바로가기

난청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

Money Pie 2025. 6. 27.

👂난청은 소통의 단절입니다

“엄마, 방금 뭐라고 하셨어요?”
“TV 소리가 왜 이렇게 크지?”

이런 대화를 나눠보신 적 있으신가요?
난청은 단순한 청력의 문제가 아니라,

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질병입니다.
특히 고령층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,

이로 인한 사회적 고립, 우울증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다행히 정부에서는 난청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

보청기 구입비 및 적합관리비를 지원하고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난청지원금을 누가, 어떻게,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

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.

 

🔍 1. 지원 자격 및 조건

                 구분       지원자격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세부조건
일반 건강보험 가입자 청각장애 등록자 양쪽 평균 60dB 이상 또는 편측 80dB + 반대측 40dB 이상
기초생활수급자/차상위계층 청각장애 등록자 위와 동일 조건

✅ 청각장애 등록 방법 요약:

    1. 이비인후과에서 순음청력검사 3회 + ABR 검사 1회
    2. 6개월 이상 진료 기록 필요
    3. 결과 제출 후 주민센터에서 청각장애인 등록 및 복지카드 발급

✅ ABR(Auditory Brainstem Response) 검사란,
소리에 대한 청신경과 뇌간의 반응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.
쉽게 말해, 귀에서 뇌까지 소리가 잘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예요.

📌 검사 목적

      • 청각장애 진단에 필수
      • 유소아나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의 청력 평가
      • 청력 손실의 위치(감각신경성 vs 중추성) 파악

🧪 검사 방법

      • 귀에 이어폰을 꽂고 ‘삐~’ 소리를 들려줍니다.
      • 머리와 귀 주변에 전극을 부착해 뇌파 반응을 측정합니다.
      • 검사 시간은 약 20~40분 소요됩니다.
      • 통증이나 불편감 없이 비침습적으로 진행됩니다.

🧠 ABR검사의 장점

      • 정확도 높음
      • 수면 상태에서도 가능
      • 신생아, 소아, 고령자 모두 검사 가능

🎯한 줄 요약:
ABR검사는 청각장애 등록에 꼭 필요한 정밀 청력 검사로,

뇌가 소리를 인식하는 과정을 전기신호로 확인하는 검사입니다. 👂⚡

 

 

 

 

💰 2. 지원금 규모

구분 보청기 구매+초기 적합관리 후기 적합관리 (사후관리) 총 지원금 (최대)
일반 건강보험 99.9만원 (111만원의 90%) 18만원 (4.5만원 x 4년) 약 117.9만원
기초/차상위 111만원 (100%) 20만원 (5만원 x 4년) 약 131만원

💡 Tip: 5년간 1회 지원 가능 (한쪽 귀 기준), 보청기 착용 효과 검수 후 신청해야 합니다.

📝 3. 난청지원금 신청 절차

👨‍⚕️ Step 1. 청각장애 등록

  • 이비인후과에서 청력검사 (순음 + ABR)
  • 장애진단서 발급 → 주민센터에 제출
  • 복지카드 수령

🧾 Step 2. 보청기 처방전 발급

  • 동일 병원에서 보청기 처방전 요청

🎧 Step 3. 보청기 구입

  • 건강보험공단 고시 모델 중 선택
  • 구입 영수증 + 바코드 사진 확보

🔍 Step 4. 보청기 착용 및 효과 검수

  • 1개월 이상 착용 후 병원 재방문
  • 검수 확인서 발급

📂 Step 5. 서류 제출

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아래 서류 제출

✅급여비 청구서

✅보청기 구입 영수증

✅검수 확인서

✅의료기기 판매업 신고증 등

💸 Step 6. 지원금 지급

  • 2~3주 후 본인 계좌로 입금

❗ 4. 주의사항 및 유의점

  • ✅ 반드시 고시된 보청기 모델만 지원 대상입니다.
  • ❌ 고급 프리미엄 보청기(예: 포낙 루미티, 시그니아 IX)는 대부분 제외됩니다.
  • 📅 절차 완료까지 1~2개월 소요될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세요.

📥 2025년 보청기 고시 모델 리스트 확인 방법

✅ 확인 방법 1: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

 

  1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
  2. 상단 검색창에 “보청기 급여 제품” 또는 “보장구 급여 기준” 검색
  3. 관련 게시글에서 PDF 첨부 파일 확인 (예: 장애인 보장구 급여 제품 리스트)

✅ 확인 방법 2: 아래 경로 직접 이동

  1. 국민건강보험공단 > 민원서비스 > 보장구 급여안내
  2. 장애인 보장구 중 ‘청각장애인용 보청기’ 항목 선택
  3. “고시된 보청기 모델 파일(PDF)”을 다운로드

 

 

 

 

📌 추가 안내

  • PDF 파일 요청이 많아 보청기 센터나 이비인후과 병원에서도 출력본을 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특히 구매 전에 **“이 제품은 고시 모델 맞나요?”**라고 반드시 확인 후 결제하세요.

✅ 고시된 보청기 모델의 예시 (2025년 기준)브랜드 고시 모델명 (예시)

포낙(Phonak) Vitus+, Baseo Q15, Tao Q15 등
벨톤(Beltone) Boost Ultra, Rely 2, Amaze 일부 등
리사운드(ReSound) ENYA 3, Match, Key 2 등
시그니아(Signia) Prompt, Intuis 3, Run P 등
스타키(Starkey) Muse iQ i1600, Picasso 1600 등
유니트론(Unitron) Shine Rev, Max SP, T Moxi Fit 등
오티콘(Oticon) Get, Ria2, Siya 등
GN 히어링 Danalogic, ReSound ENYA 등

❌ 고시 대상이 아닌 고급 프리미엄 보청기

  • 포낙 루미티 (Lumity 시리즈)
  • 시그니아 IX, AX, Styletto
  • 스타키 Genesis AI
  • 오티콘 Real, Intent 등 최신형 프리미엄 라인
  • 👉 대부분은 비급여, 즉 정부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.

📞 센터에 방문할 때는 “정부 고시 모델로 구입할 예정”이라고 미리 말씀하시면

정확한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.

✨ TIP

  • 고시모델이라 해도, 개인에게 잘 맞지 않으면 착용이 불편할 수 있어요.
  • 따라서 전문가의 청력 검사 + 보청기 피팅 테스트 후에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.
  • 가격도 정부 고시 모델은 대체로 60~130만 원대입니다.

🍼 5. 영유아(5세 미만) 지원 방법

  • 대학병원급에서 청성뇌간반응검사(ABR) 및 처방전 발급
  • 보건소에 신청서, 검사 결과, 진료기록 등 제출
  • 보청기 착용 1개월 후 검수서 제출
  • 최대 135만원 보청기당 지급 (1~2대 가능)

✅ 결론: 준비만 잘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지원금

청력은 우리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감각입니다.
그렇기에 정부가 마련한 이 제도를 꼭 활용하셔야 합니다.

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다면,
이미 사랑하는 부모님, 조부모님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해드릴 수 있는 첫 걸음을 내디딘 거예요. 🙌

❓ Q&A 자주 묻는 질문

Q1. 보청기 구입 전에 지원금 받을 수 있나요?

  • A: 아니요. 반드시 구입 후, 보청기 효과 검수까지 마친 후에 지원금을 청구해야 합니다.

Q2. 꼭 청각장애 등록이 되어야 하나요?

  • A: 네. 난청지원금은 청각장애 등록자에 한해 지급됩니다.

Q3. 지원금은 몇 년마다 받을 수 있나요?

  • A: 5년에 1회, 한쪽 귀 기준으로만 지원됩니다.

Q4. 최신형 보청기도 지원되나요?

  • A: 대부분의 프리미엄 보청기는 지원 불가이며, 고시된 모델만 가능합니다.

Q5. 직업병으로 인한 난청도 지원되나요?

  • A: 네. 산재 신청을 통해 최대 5천만원까지 장해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단, 전문 노무사의 자문을 권장합니다.

 

 

댓글